
퀀트 투자는 정량적 지표를 통해 감정 없는 종목 선별이 가능한 점에서 많은 직장인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가장 널리 알려진 지표가 바로 PER(주가수익비율)입니다. PER은 단순하지만 효과적인 저평가 판단 도구로, 이를 기반으로도 충분히 퀀트 전략을 설계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PER 하나만을 활용해 전략을 설계하는 방법과 실제 백테스트를 통한 성능 확인 과정을 상세히 설명합니다.1. PER 단일 기준의 전략적 가치와 적용 범위PER은 주가를 기업의 수익성과 연결해 해석할 수 있는 핵심 지표입니다. PER = 주가 ÷ 주당순이익(EPS) 로 계산되며, 해당 수치가 낮을수록 기업이 벌어들이는 이익에 비해 주가가 저렴하다는 의미입니다.PER이 낮다고 무조건 좋은 종목은 아니지만,..

‘저평가 종목’을 찾는 것은 많은 투자자들의 영원한 숙제입니다. 하지만 감에 의존하거나 막연한 뉴스에 기대기보다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종목을 고르는 퀀트 투자 방식이 훨씬 더 신뢰할 수 있는 접근입니다. 퀀트 전략은 PER, PBR, ROE와 같은 객관적 지표를 기반으로 종목을 선별하며, 감정 없는 시스템 투자를 가능하게 합니다. 이 글에서는 퀀트 방식으로 저평가 종목을 찾는 방법과 실제 적용 전략을 소개합니다. 1. 저평가란 무엇인가? 퀀트 관점에서의 정의일반적으로 '저평가'란 어떤 자산의 현재 가격이 내재 가치보다 낮게 형성된 상태를 말합니다. 하지만 퀀트 투자에서는 이 내재 가치를 정량적 지표로 수치화하고, 이 수치를 기준으로 수많은 종목을 스크리닝합니다.퀀트 관점에서 저평가란?PER (Price ..